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gitea telegram 알림설정

CI-CD

by giljabi 2024. 12. 21. 08:46

본문

gitea는 가볍지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오늘은 그중에서 "webhooks"를 이용해서 telegram과 연결해 보겠습니다.

 

repository의 다양한 이벤트를 실시간으로 공유하려면 이메일이 전통적입니다만 설정, 보안문제등으로 smtp에 접속하기 어렵습니다. telegram, slack 등을 이용하면 쉽게 협업툴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repository 설정에서 webhook를 선택하면 어떤 webhook를 사용할지 고를 수 있습니다. slack보다는 telegram 설정이 좀 더 간편한 것 같습니다. slack은 channel 생성까지 과정도 좀 많아 손이 조금더 많이 갑니다. 

 

telegram에서 @BotFather를 찾습니다. 그리고 대화를 시작합니다.

대화를 시작하면 사용할 수 있는 옵션이 나옵니다.

 

/newbot을 입력합니다.

mymvp repository에서 사용할 계획이므로 이름도 비슷하게 입력합니다. telegram에서 보이는 이름으로 사용됩니다. 여기서는 giljabi_helper를 사용합니다.

 

botname은 telegram전체에서 식별하는 이름이므로 telegram 전체에서 중복될 수 없고, "bot"으로 끝나야 합니다.

giljabi_helper_mymvp_bot을 사용합니다.

 

 

 

token이 발급되었으면 chat id를 찾아야 합니다. 74.... 나오는 부분을 복사해서 ${} 부분에 위에서 받은 API키로 대체해서 브라우저 주소창에 붙여 넣습니다.(https://api.telegram.org/bot${}/getUpdates

 

아직 값이 없습니다. 조금 전 생성한 bot을 telegram에서 검색합니다. 제일 위에 있는 사용자 giljabi_helper를 선택합니다. giljabi_helper는 @giljabi_helper_muymvp_bot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주고받습니다.

Start를 클릭합니다. 그리고 다시 getUpdate url 있는 페이지에서 리로드 합니다.

웹 브라우저에서 id를 확인합니다.

 

 

chat-id에 있는 숫자를 사용합니다. 정상적으로 메시지가 전송되는지 브라우저에서 입력해 봅니다. 붉은색은 위에서 받은 토큰과 채팅ID를 사용하면 됩니다.

https://api.telegram.org/bot74......../sendMessage?chat_id=50.......&text=HelloWorld

 

 

잘되는 것을 확인합니다.

 

다시 gitea 설정으로 갑니다.

 

bot token, chat id를 입력하고 trigger on에서는 All Events를 선택합니다. 다른 건 입력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아래에 있는 "add webhook'을 클릭하여 저장합니다. 정상적으로 사용되면 trigger는 적절하게 사용하고 싶은것으로 변경하면 됩니다.

저장하면 설정은 끝납니다.

 

이슈를 하나 만들어봅니다.

 

잘 되는군요.

 

'CI-CD'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metheus & Grafana  (1) 2024.12.21
gitea Issue Template  (0) 2023.06.02
gitea Repository Packages  (0) 2023.05.25
gitea Repository Issues/Labels/Milestone/Projects  (0) 2023.05.25
gitea Organization Team  (0) 2023.05.25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