뜬금없이 "똠방각하"가 뭔가하면 완성형 한글이 되면서 표현되지 않는 대표적인 글자가 "똠"이였습니다. 저걸로 한참 떠들썩 했던 기억이납니다.(MBC드라마 제목) "똠방각하"를 "?방각하"로 쓰던 시절이 생각이나서 끄적 끄려 봅니다
mac에서 한글 저장 시 풀어쓰기(ㅎ ㅏ ㄴ ㄱ ㅡ ㄹ)로 되는 게 이상해서 처리방법을 찾다 보니 옛날 생각이 나서 gpt에게 조사해서 알려달라고 하니 잘 알려줍니다. 정리까지 잘해줘서 헐~~ 소리만 납니다.
Mac에서 한글을 저장할때 완성형으로 저장하는 코드 요거 때문에 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
* 맥에서 저장하는 경우는 NFC(완성형)로 정규화, NFD(조합형)으로 저장하면 풀어쓰기가 됨
* @param input
* @return
*/
public static String normalizeToNFC(String input) {
if (input == null) return null;
return Normalizer.normalize(input, Normalizer.Form.NFC);
}
한글코드를 보다 보니 예전에 삼보트라이젬에 XT에 시게이트 ST-225(20M HDD)를 거금을 들여서 구입한 생각이 스치고 갑니다. 덕분에 지금까지 관련해서 잘 먹고 잘살고 있으니 헛된 투자는 아니었습니다. 이때 HDD는 도시락만 한 크기였는데, 당시 HDD는 구경하기도 힘들었던 시절이라..... 엄청 힘주고 살았습니다. 터보씨정복도 기억납니다. 정복은 못했지만 베개로 쓰기에는 좋았다는...
플로피디스크 하나 빼고 HDD를 사용했습니다. XT가 이 모델과 비슷한거 같기도 하고... DOS 3.2였던 걸로 기억합니다. unix를 먼저 배우고 DOS를 배워서 상대적으로 쉬웠습니다. 여기서 사용한 한글 보드가 CHP보드로 기억합니다, 팔뚝만 했었는데...
https://blog.naver.com/infinity71/100173053822
삼보 트라이젬 XT 컴퓨터 Gem Power Deluxe
이번에 포스팅된 시스템은 1990년도 전후에 삼보컴퓨터에서 출시한 XT컴퓨터인 젬파워 디...
blog.naver.com
ST-225 HDD
https://blog.naver.com/park27001/150151372196
Seagate ST-225, MFM Hard Disk
MFM(Modified Frequency Modulation)방식은 RLL(Run Length Limited) 방식과 함께, I...
blog.naver.com
1200 bps 모뎀은 어떤 모델이었는지 기억이 안 나지만, 케텔, 데이콤의 pc-serve?, 그리고 호롱불 BBS를 서울에 있는 메인과 연결해서 소식도 공유해 보고 아련한 추억입니다. 학교에서는 구내전화로 전화하면 삐~~ 하면 수화기 내려놓고 연결하던 fast77이었던가 하는 단말기도 기억나고... 이때 pc통신하던 분의 최고는 300 bps 모뎀을 사용해서 해외 서버에 접속해서 자료조사하시던 분이 계셨습니다. 옆길로 샜습니다만 한글 코드의 지난날을 한번 보고 가세요. 마이크로소프트웨어 잡지에 CHP 한글입력기 메모리 적게 사용하는 게 asm 되어 있는 거 3일 동안 쳐서 입력해서 사용도 해봤는데.....
저 논쟁에서 완성형이 승리했는데, 웃긴건 완성형 한글을 위해 입력을 조합형으로 받아 완성형으로 저장했다는....
한글 논쟁거리
1990년대 한글 코드 표준화 과정에서 조합형과 완성형 한글 코드 방식에 대한 논쟁은 한국 정보기술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 중 하나입니다. 이 논쟁은 한글 처리 방식의 근본적인 차이와 기술적, 실용적 관점에서의 갈등을 반영했습니다.
이 논쟁은 당시 한국 IT 기술의 발전과 한글의 디지털화 과정을 이해하는 중요한 사례로 남아 있습니다.
1980년대 후반, 한국의 컴퓨터 환경에서 한글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다양한 한글 카드(한글 보드)가 개발되었습니다. 이 중 대표적인 제품으로 삼보컴퓨터의 'CHP 한글 카드'와 '청계천 한글 카드'가 있습니다.
1. 청계천 한글 카드:
2. 삼보컴퓨터의 CHP 한글 카드:
이러한 한글 카드들은 당시 컴퓨터에서 한글을 사용하기 위한 필수적인 하드웨어였으며, 각기 다른 방식과 특징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