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Quiz...
My Quizzz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출문제 <!-- 전기기사 필기 기출문제 -->
eahn.kr
지금까지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없이도 IT 분야에서 나름대로 살아왔습니다. 사실 자격증이 없이도 업무를 수행하는 데에는 큰 지장이 없었고, 실무에서 더 중요한 것은 경험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최근 자격증에 대해 관심이 갑자기 생겨,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을 준비해보기로 마음먹었습니다. 그리고 수험서도 구입해서 공부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시험을 준비하다 보니 난관에 봉착했습니다. 정보처리기사 필기시험은 예전에는 기출문제가 공개되어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었지만, 2022년부터 필기시험이 CBT(Computer-Based Testing) 방식으로 전환되면서 기출문제가 더 이상 공개되지 않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여러 웹사이트에서 복원된 기출문제들을 찾아 공부하게 되었는데, 그 사이트들이 제공하는 방식이 생각보다 불편하더군요. 문제 접근성도 떨어지고, 인터페이스도 비효율적이었습니다. 그래서 "내가 직접 내가 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도구를 한번 만들어 볼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렇게 마음먹고 개발을 시작했고 뚝딱뚝딱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어보았습니다.
GPT는 유료로 사용하고 있는데 사용할수록 머리가 단순해져가는 것을 느끼긴 하지만, 없으면 너무 불편하게 되어 끊을수가 없겠습니다. 이 도구는 정말로 개발자의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여주는 것 같았습니다. 예를 들어, 기출문제가 PDF 파일로 제공되었기 때문에 이를 텍스트로 변환하는 작업이 필요했는데, 이 과정을 GPT와 파이썬 스크립트를 통해 아주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었습니다. PDF 파일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작업은 몇 줄의 파이썬 코드만으로 해결이 되었고, 이 덕분에 작업 속도를 많이 단축할 수 있었습니다. 세상 참 좋아졌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하지만 한편으로는 이런 기술이 너무 편리해져서 걱정도 되었습니다. 특히 이제 막 개발에 입문하는 신입 개발자들에게는 도움이 되는 동시에, 이들이 직접 문제를 해결해서 지식을 쌓아가는 중요한 과정을 놓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실 GPT는 개발자가 "어떤 기능을 어떻게 만들고 싶은지"만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으면, 그걸 기반으로 코드까지도 작성해주기 때문입니다. 결국 개발자의 창의성과 문제 해결 능력을 어떻게 유지하면서 이런 도구들을 잘 활용할지 고민해야 할 것 같습니다. 과거에는 자료를 찾아서 원하는 것을 구현하는것이 경험이고 짭밤의 차이였는데, 지금은 주니어와 시니어의 차이가 거의 없어졌습니다.
수험서와 기출문제를 보면서 랜덤하게 문제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답을 확인하며, 누적된 학습 결과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것이었습니다. 문제는 지겹지 않게 5문제씩 풀고, 누적된 데이터를 가지고 학습 현황을 쉽게 파악하고, 계속해서 새로운 문제를 풀며 학습의 재미와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개발 과정에서 Spring Boot 2.6.4, PostgreSQL 17, 그리고 JDK 8을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했습니다.
또한, 이 웹 애플리케이션은 반응형 디자인을 적용하여, 모바일 환경에서도 학습이 편리하도록 설계했습니다. 요즘 대부분의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모바일에서도 학습이 불편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했습니다. 출퇴근 시간 지하철에서 짬짬이 공부할 수 있도록 만든 점이 특히 마음에 들었습니다. UI를 구성할 때는 Bootstrap을 활용했는데, GPT를 활용해보니 이 부분도 굉장히 쉽게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GPT가 만들어준 Bootstrap UI는 정말 잘 만들어졌고, 필요한 부분만 조금 수정하면 될 정도였습니다. AI가 너무 잘해주니 앞으로 뭘 해야할지 걱정거리만 생기는군요.
이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계속해서 다른 문제를 풀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나의 결과보기" 기능을 통해 개인의 정답률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사용자가 자신이 어느 정도 학습했는지, 어떤 부분에서 부족한지를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또한, 개인을 식별하는 정보는 초기 접속 시 쿠키를 통해 관리되며, 모바일과 PC에서는 각각 다른 사용자로 인식됩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다양한 기기에서 동일한 학습을 이어나가더라도, 각각의 기기에서 개별적으로 학습 기록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제가 매일 출퇴근 시간에 조금씩 이 도구를 이용해서 학습을 하고 있는데, 교재를 제대로 보지 않고 문제만 풀다 보니 아직 많이 틀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계속해서 푸는 문제들이 축적되면서 점점 정답률이 높아지는 것을 보며 학습의 효과를 느끼고 있습니다. 문제를 풀 때마다 다른 사용자들과의 비교도 가능하고, 내가 어떤 부분에서 취약한지 명확하게 볼 수 있어 공부에 동기부여가 되기도 합니다.
필요한 소스는 GitHub에 공개되어 있어서 누구든지 활용할 수 있습니다. 소스 코드는 다음 주소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s://github.com/giljabi/eip
GitHub - giljabi/eip: 기사 필기시험 퀴즈
기사 필기시험 퀴즈. Contribute to giljabi/eip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데모 사이트도 마련해 두었기 때문에, 실제로 어떻게 작동하는지 직접 경험해보고 싶으신 분들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데모사이트에서 접속할 수 없지만, 소스코드를 받아서 로그인 화면에서 문제를 등록하고 본인만의 퀴즈 시스템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번 도구가 정보처리기사 필기시험을 준비하는 분들에게 큰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저 자신도 이 도구를 이용해서 꼭 자격증에 합격하고 싶습니다.
최근 추가한 "AI 해설보기"입니다. openai api를 이용하는데 오답도 있어 수험서와 함께 보는것을 권장합니다.
giljabi github open (1) | 2024.12.21 |
---|---|
Pinpoint & jennifer (1) | 2024.12.21 |
Postgresql DB복제 (1) | 2024.11.16 |
MySQL DB복제 (2) | 2024.11.16 |